가득참을 경계한다는 계영배 (戒盈杯)
계영배(戒盈杯)는 경계할 계(戒). 가들찰 영(盈). 잔배(杯). 즉, 가득참을 경계한다 는 뜻을 지닌 술잔이다.
겉으로는 일반 술잔과 비슷하지만 이잔에 7할 이상의 술이나 액체를 부으면 밑바닥 구멍으로 세어 나가 버린다. 7할 전 까지는 흘러 내리지 않는다.
술을 지나치게 마시지 말라는 가르침과 함께 인생사에서 지나친 욕심을 경계하라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불가에서 말하는 적은것에 만족하고 탐욕치 말라는 가르침과도 상통한다.
모든 괴로움은 탐욕과 어리석음에서 비롯된다고 하였다.
중국의 성현인 노자 또한 '재앙중에는 만족할 줄 모르는것 보다 더 큰 재앙이 없다' 고 했다.
조선후기 우명옥은 강원도 산골에서 질그릇을 구워파는 인물이였다.
그는 소망대로 ‘설백자기’라는 훌륭한 도자기를 만들어 왕실에 진상하게 되어 도공의 명성과 재물을 얻게 되었다.
그러나 술과 방탕한 생활로 인하여 명예와 재산을 모두 잃게 된다,
그제서야 우명옥은 크게 뉘우치고 술을 끊고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여 밤낮없이 노력하여 술잔 하나를 만들었다.
그는 자신이 심혈을 들여 만든 술잔을 스승에게 내 놓으며 “이것은 계영배 라는 술잔입니다”
그가 술잔에 술을 가득히 붓자 술이 모두 아래로 흘러내려 버리질 않는가. 이번에는 다시 술잔에 술을 7할쯤 부으니 술은 잔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우명옥은 계영배를 스승에게 전하고는 자취를 감추었다고 한다.
우명옥이 만든 계영배는 훗날 의주의 거상 임상옥에게 전해졌고 임상옥은 계영배를 늘 옆에두고 지나친 욕심을 경계 하였으며 모은 재산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