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야생화

당아욱(Mallow flowers)

한계(閑溪) 2011. 6. 2. 16:35

당아욱(Mallow flowers)

 

접시꽃 닮은 당아욱꽃

 

당아욱꽃의 꽃말은  " 어머니의 사랑 "  입니다

아욱과(─科 Malvaceae)에 속하는 2 년생초로 접시꽃도 아욱과라 하네요.
무궁화도 아욱과 식물이랍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아욱꽃은 참 작고 아욱국을 먹어 본적이 있을 겁니다.
당아욱은 채소라기 보다는 원예용꽃입니다.
 

주로 바닷가에서 잘 자라므로 남해 섬 지방 등지에서는 1년 내내 꽃을 볼 수 있다.

 

울릉도 바닷가에서 야생 상태로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 60-90cm내외이다.
잎은 둥근 편이며 잎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꽃은 6~8월에 피는데, 꽃자루가 작으며,
잎겨드랑이에 여러 개의 담홍색 꽃이 달린다. 밑에서 줄기 윗부분으로 순차적으로 피어 올라간다.

 

품종에 따라 가지각색의 꽃이 핀다. 아시아가 원산지로 세계 각처에서 관상용으로 심는다.

 

아침에 당아욱 따면 그 날 하루는 병에 걸리지 않는다는 전설이 있다.

 


당아욱으로 만든 고약은 마법에 걸린 인간을 정상으로 회복시키는 힘이 있다.
목이나 소화기의 염증, 치통이나 눈병에 잘 듣는다고 전해져 온다.

 

당아욱을 금규(錦葵)라고도 하며,
한방에서 잎과 줄기를 금규(錦葵)라는 약재로 쓰는데,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하고
림프절결핵과 부인병인 대하, 제복동통을 다스리는 데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또한 로마에서는 산양 젖에 당아욱 뿌리를 담가 먹으면 성욕을 자극한다고 했다.


△ 당아욱의 전설


옛날 조선의 한 마을에 욱이라는 이름의 과부가 살고 있었다.


어느 날 그 마을에 왜구들이 쳐들어와 닥치는 데로 사람들을 학살하였고 그것을 피해 욱과
그의 아들은 산 속으로 피신을 하게된다. 하지만 산 속으로 도망을 가다가 그만 왜구에게
들켜버리고 말자 욱은 아들만이라도 살리기 위해서 치마 속에 아이들을 넣고 자신은 나무를
움켜잡는다. 왜구들은 그런 욱을 떼어 내려고 하지만 결국 포기하고 욱의 등을 칼로 베어버린다.

하지만 때마침 늦게 도착한 관병들에 의해서 왜구들은 도망가고 간신히 아이만 살아 남게된다.
아이는 어머니의 죽음이 믿어지지 않지만 나중에라도 어머니를 찾아오기 위해 나무 밑에
어머니의 무덤을 만든다.

 

후에 아이는 어느 양반집의 양자로 들어가서 무과에서 급제를 한다. 그리고 그들은 왜구를 잡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다가 다시 어머니의 무덤에 찾아가게 되는데 그 무덤에서 나있던 꽃이 당아욱
이었다고 한다.

 

2011년 6월 2일 강서구 영광건재에서 담왔읍니다.

담을 때는 양아욱으로 알고왔는데 검색하여보니 당아욱니네요.ㅎㅎㅎ

씨와 묘목을 분양하기로 약속하고 왔어니 저의 뜰에도 내년이면 볼수 있을 것입니다.

오신 님들 당아욱꽃 처럼 활짝웃는날 되세요. -한 계-

'사진 > 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자꽃  (0) 2011.06.10
나팔꽃  (0) 2011.06.09
디기탈리스  (0) 2011.06.01
일본조팝나무  (0) 2011.05.31
풍로초  (0) 2011.05.31